[What] 지방선거 앞두고 부는 'SNS 선거운동' 바람

부산닷컴 기사퍼가기

비용·선거법 장벽 구애 받지 않는 표심 구애 전략

"악수 한 번보다 트윗 한 번이 더 효과적입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또다시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정성을 쏟고 있다.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의 '후폭풍'으로 '온라인'에서 멀어졌던 정치인들이 선거 운동의 물리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SNS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 시장후보 캠프의 경우 "SNS가 비용도 저렴하고, 선거법에 저촉될 위험도 낮아 후보자를 알릴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비용 저렴·규제 저촉 위험 낮아
얼굴·정책 알리기에 효과적 

모바일 앱으로 접근성 높이고
퀴즈·이벤트 통해 흥미 유발
다양한 영상·애니메이션 활용
후보마다 차별화된 홍보 열 올려

콘텐츠 생산방식·메시지 관리
컨설팅 업체 노하우 판매도 치열

■저비용 고효율 선거전략

SNS 선거운동의 경우 오프라인 선거 운동보다 규제가 덜 까다롭다.

현직에 있는 후보자의 경우 선거일 전 90일부터 선거일까지 의정활동보고를 할 수 없지만 카카오톡 등 SNS를 이용한 의정보고는 할 수 있다.

선관위는 의정활동보고 제한기간(2014년 3월6일~6월4일)중이라 하더라도 인터넷홈페이지 또는 그 게시판·대화방 등에 게시하거나, 전자우편, 문자메시지, SNS를 이용해 의정활동 내용을 전송하는 행위는 가능하다고 밝혔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80%에 육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후보자를 알리는 데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SNS가 가장 효율적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출판 기념회 같은 행사를 마련하거나, 유세지원 인력을 동원하는 등의 방식에 비해 비용이 저렴한 것도 장점이다.

이와 관련, 부산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SNS 활용이 일회성 홍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공감한 내용들을 선거공약이나 반영하는 소통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차별화된 SNS전략 마련 고심

그러나 유권자들이 이미 SNS에 친숙하고 이를 통한 선거 홍보에도 여러 차례 노출돼 지방선거 후보자들이 유권자들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한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부산시장 후보들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SNS 홍보에 나섰다.

민주당 김영춘 전 의원의 경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앱)을 만들어 SNS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PC 홈페이지가 상호 연동되는 프로그램으로 후보자의 실시간 선거운동 활동을 확인할 수 있고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창구로 활용하고 있다.

새누리당 서병수 의원은 2개의 페이스북 페이지 3개의 페이스북 그룹 등 무려 9개의 SNS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물량공세'에서 앞서고 있는 모습.

서 의원은 특히 SNS 콘텐츠에서 '재미'를 부각시키고 있다. 딱딱한 정치 이야기 대신 자신과 관련된 소소한 정보를 퀴즈나 이벤트를 통해 전달하는 방식. 틀린 그림찾기, 돌발퀴즈, 졸음을 날려주는 심리테스트, 뜬금 앙케이트, 먹방 콘테스트 등 흥미유발형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무소속 오거돈 후보는 '스토리텔링'을 내세운다. 페이스북 등을 통해 자신이 부산시장 선거에 나서 두 번이나 낙선한 일 등을 소개하는 데 주력하면서 영상과 애니메이션 등을 통한 홍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새누리당 박민식 의원은 새벽에도 트위터를 올리는 SNS '애호가'다. 때문에 캠프 회의도 SNS를 활용한다. "카카오톡 그룹 채팅을 통해 회의를 하면 언제, 어디서든 신속한 의사결정이 가능하다"는 설명.

그는 페이스북에 "시민들이 잠잘 때 고생하는 분 누가 있을까요?"라는 글을 올린 이후 "버스기사, 비정규직, 건설현장 일용직" 등의 댓글이 달리자 실제로 새벽시장, 경찰서, 소방서, 세관본부 등을 찾아가 근무자들과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새누리당의 권철현 전 주일대사도 유튜브를 통해 새해 인사를 전하는 등 일찍부터 SNS를 활용해 조직의 열세를 만회하는 전략을 펴고 있고 민주당 이해성 전 조폐공사 사장도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이용해 얼굴 알리기에 나섰다.


■SNS 선거 '산업'으로 성장

SNS가 지방선거의 필수요소로 자리잡으면서 'SNS선거전략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수많은 '컨설팅 업체'들이 SNS 선거전략과 관련된 유료 세미나를 열고 콘텐츠 생산 방식과 메시지 관리 노하우를 '판매'하고 있다.

SNS선거운동을 돕는 프로그램도 판매되고 있다. 후보자가 자신의 이력과 공약, 캠페인 활동 등을 웹에 올리면 소셜미디어를 통해 콘텐츠가 자동으로 공유되는 방식이다. 유무선 단말을 통해 유권자가 접근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통합 선거운동 솔루션도 등장했다.

팟캐스트나 유튜브 서비스를 활용해 지방선거 예비후보자를 위한 오디오, 영상 홍보물 제작 서비스도 등장했다.

스마트폰에 최적화된 영상이나 유세차량용 영상, 유튜브 패러디 영상을 별도로 만들어주기도 한다.

업계에서는 이번 선거에서 후보자들이 SNS 관리를 위해 지출할 비용을 3천억 원 규모로 추산했다. 컨설팅, 솔루션 및 플랫폼 구축, 콘텐츠 기획 등에 소규모라도 비용이 투입돼서다. 예비후보 등록으로 선거전이 본격화되면서 SNS 관련 업체들의 '고객' 확보 경쟁도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개인정보 유출 사태로 무차별적인 홍보 메시지가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SNS 선거운동이 시민들의 불편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실제로 모 부산시장 후보의 홈페이지에는 "나는 부산사람도 아닌데 왜 문자를 보내느냐"는 항의의 글이 올라오는 등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AI 추천 기사